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본소득제
- 가짜뉴스
- keynesian
- 코로나
- 위드코로나
- 에너지
- 대선
- 호주달러 전망
- 미국
- 나무위키
- 외화
- 게임이론
- 경제
- 미국달러
- 엔화
- 우크라이나
- 호주
- 환율
- 기후변화
- 오스트레일리아
- 호주달러
- 오미크론
- 환율 전망
- 환율전망
- 가짜정보
- CPI
- phillips curve
- 팩트체크
- 일본
- economics model
- Today
- Total
Library of Social Science
대선 투표 부실관리 문제, 해결방법은? 본문
이 '종이 투표' 라는 형식은 '누군가가 개입을 하면 끝' 이라는 문제점이 있죠.
그리고 이번 코로나 백신패스 인증서에서 볼 수 있듯이, 이건 '블록체인 기술(절대 변조 불가)'로 부정선거 의혹 그 자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있습니다.
다만, 논란을 막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자투표 프레임워크(기반)' 과 달리, 새롭게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제일 이상적인 건, 선관위 인증 건물에서만 작동하는 투표 기기들을 배치하고, 그 곳에서 투표하도록 하되, 원전 처럼 독립적인 인트라넷 망을 구축해서 보안에 더욱 박차를 가하도록 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개표는 한 곳에서만 하고, 그 장소는 복권 추첨 볼 관리하듯이 개표일 당일 까지, 24시간 보안 및 유튜브로 실시간 생중계를 하면 됩니다.
적어도 저로서는, 이 방법이 가장 현실성이 있는 이상에 가까운 투표 방식이라고 봅니다.
아무튼, 종이 투표에서 디지털 투표로 전환 할 수 있는 계기가 생긴건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최소한 논란을 잠재우려면 '이 토요일의 확진자 사전투표자 수'는 다시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제 여기서 가장 골치아픈 점이라면, 그날 오후 5시-6시 이후로 투표한 사람들의 수 만큼의 표 차이로 당선이 되어 버릴 경우 입니다. 이러면 그 사람들에 한해서 또는 전국민이 다시 재투표를 하는 수 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4502764/
Blockchain for Electronic Voting System-Review and Open Research Challenges - PubMed
Online voting is a trend that is gaining momentum in modern society. It has great potential to decrease organizational costs and increase voter turnout. It eliminates the need to print ballot papers or open polling stations-voters can vote from wherever th
pubmed.ncbi.nlm.nih.gov
'한국 연구실 > 한국 사회 연구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 20대 대선, 사표 유권자들의 책임은? (0) | 2022.03.10 |
---|---|
윤 정권 - 5년간 어떤 세상이 펼쳐지게 될까? (0) | 2022.03.10 |
대선후보 별 당선에 따른 변화 고찰 - 2022년 2월 1주차 (0) | 2022.02.03 |
확진자를 줄이는게 목적인데, 정치방역? (0) | 2021.12.13 |
한국인들의 나이와 서열 (0) | 2021.12.07 |